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푸터 바로가기

ERAHS

한국의 농어업유산

GIAHS 등장 배경

전통지식과 해결책의 보고

  • -전통 농업 지식과 관행은 지속가능발전목표(2030 Agenda) 달성에 기여
  • -현대의 농업·환경·사회 문제에 대한 대안적 해법을 제공

지역 생계, 생태계, 문화 보전

  • -지속 불가능한 농업과 토지 이용으로 인한 식량안보 및 문화 가치 훼손에 대응
  • -전통과 진화된 지식·기술을 바탕으로 자원·생물다양성·생태계를 효과적으로 관리
  • -지역 주민의 창의성과 적응력의 산물로서 가치 보유

농업 혁신의 기반이자 문화다양성의 수호자

  • -현대 농업 시스템에 대한 대안적 접근 모델 제시
  • -미래 농업기술 발전의 토대가 되는 전통 시스템
  • -전 세계 지역 공동체의 문화, 역사, 전통의 다양성 보전 역할 수행

GIAHS 지정기준 및 현황

지정기준

food_bank
식량 및 생계의 안정성(Food and Livelihood Security)
지역공동체의 식량‧생계안정 기여, 공동체 내에서 공급과 교류가 이루어지는 자급자족 농업과 생계유지를 위한 다양한 농업
eco
농업생물다양성(Agro-biodiversity)
농업, 어업, 목축, 임업 등 식량 및 농업에 직․간접적으로 이용되는 다양한 동물, 식물, 미생물로 정의된 농업생물다양성과 유전자원 보유 여부
psychology
지역 및 전통적 지식시스템(Local and Traditional Knowledge Systems)
농업, 어업 등 생업활동을 지원하는 생물종, 토지, 수자원과 자연 자원에 대한 독창적인 적응기술 및 관리시스템
groups
문화, 가치체계 및 사회조직(Culture, Value Systems, and Social Organizations)
자원의 이용 및 접근에 대한 형평성을 보장하는 규범과 관행, 농업시스템의 역동적 보전에 기여하는 공동체조직
landscape
육지경관 및 해양경관의 특징(Landscape and Seascape Features)
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발되었거나 안정화되면서 느리게 진화한 것처럼 보이는 육지경관이나 해양경관

지정현황

  • 2025년 7월 기준 현재 29개국 99개소가 지정됨
  •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· 태평양 지역 63개소, 아프리카 4개소, 유럽과 중앙아시아 14개소,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9개소, 중동 및 북아프리카 9개소가 지정

한국의 GIAHS 지정 현황 (9개소)

지도

  • 청산도 구들장 논 농업
    청산도 구들장 논 농업 (2014)
  • 제주 밭담 농업
    제주 밭담 농업 (2014)
  • 하동 전통차 농업
    하동 전통차 농업 (2017)
  • 금산 전통 인삼 농업
    금산 전통 인삼 농업 (2018)
  • 담양 대나무밭 농업
    담양 대나무밭 농업 (2020)
  • 하동·광양 섬진강 재첩 어업
    하동·광양 섬진강 재첩 어업 (2023)
  • 제주 해녀 어업
    제주 해녀 어업 (2023)
  •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어업
   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어업 (2025)
  • 울진 금강송 산지농업
    울진 금강송 산지농업 (2025)

※ 출처: FAO GIAHS 공식 홈페이지(https://www.fao.org/giahs/en) ※ 사진 출처: 농림축산식품부, 한국어촌어항공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