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도의 도입배경 및 개념
도입배경
- 2012년 3월 국가중요농어업유산 제도 도입, 12월 농어업 유산의 국가지정을 핵심으로 하는 '농어업유산 지정관리 기준'고시
- 2015년 2월 농업유산과 어업유산의 법적 근거 마련 : 「농어업인의 삶의 질 향상 및 지역 개발 촉진에 관한 특별법」 제30조의 2(농업유산), 제30조의 3(어업유산)
국가중요농업유산의 개념
- 지역의 환경 · 사회 · 풍습 등에 적응하면서 오랫동안 형성시켜온 유형 · 무형의 농업(어업) 자원 중에서 보전할 가치가 있는 농업(어업) 자원 (법 제30조의 2 · 3)
지정기준
지정기준
역사성과 지속성을 가진 농업활동
농산물의 생산 및 지역 주민의 생계유지에 이용
고유의 농업기술 또는 기법 보유
농업활동과 연계된 전통농업문화의 보유
농업활동과 관련된 특별한 경관의 형성
생물다양성의 보존 및 증진에 기여
국가중요농업유산의 지정 현황 (총19개소)
지도
- 청산도 구들장 논 농업 (2013)
- 제주 밭담 농업 (2013)
- 구례 산수유 농업 (2014)
- 담양 대나무밭 농업 (2014)
- 금산 전통인삼 농업 (2015)
- 하동 전통차농업 (2015)
- 울진 금강송 산지농업 (2016)
- 부안 유유동 양잠농업 (2017)
- 울릉 화산섬 밭농업 (2017)
- 의성 전통수리 농업시스템 (2018)
- 보성 전통차 농업시스템 (2018)
- 장흥 발효차 청태전 농업시스템 (2018)
- 완주 생강 전통농업시스템 (2019)
- 고성 해안지역 둠벙 관개시스템 (2019)
- 상주 전통 곶감농업 (2019)
- 강진 연방죽 생태수로농업 (2020)
- 창원 독뫼 감 농업 (2022)
- 서천 한산모시 전통농업 (2022)
- 청양구기자 전통농업 (2024)
※ 출처: RAISE 공식 홈페이지 (https://www.raise.go.kr/raise/) 및 청양구기자 전통농업 국가중요농업유산 신청서 자료
※ 사진 출처: 농림축산식품부